top of page

 

 

о최남희 (2010). 국내외 재난심리지원의 현황 분석 및 방안 모색. 국가위기관리학회. 2(1). 52-65.

 

 

 

о최남희, 유정 (2009). 트라우마 내러티브 재구성과 회복효과, 한국피해자학회, 18(1). 285.

 

 

 

о이병택, 유정, 이동훈, 손명호, 강내희, 함병주, 최남희 (2008). “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신경기반 : 부적점화과제와 기능자기공명영상 연구,”   생물정신의학, 15(2), 110-117

 

 

 

оByung-Joo Ham, Jeanyung Chey, Sujung J. Yoon, Younghoon Sun, Do-Un Jeong, Seog Ju Kim, Minyoun E. Sim, Namhee Choi,   Ihn-Geum Choi, Perry F. Renshaw, Inkyoon Lyoo (2007). “Decreased N-acetyl-aspartate levels in anterior cingulated and    

  hippocampus in subjects with post-traumatic stress disorder,” 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, 25(1), 324-329

 

 

 

о최남희, 변주훈, 한동일, 임숙빈 (2007). 자연재난 집중호우 피해자의 심리적 충격과 우울. 정신간호학회지. 16(2). 139-149.

 

 

 

о최남희 (2005). “재난 생존자 경험의 내러티브 분석, 재난 간호를 위한 제언”, 대한간호학회지, 간호학회지, 35(25), 407-418.

 

 

 

о최남희 (2005) “삶으로의 탈출: 재난 피해자의 사회복귀,” 119매거진, 184.

 

 

 

о최남희 (2005). “재난을 경험한 사람들과 간호,” Nursezine, 군자출판사, 23호, 36-40.

 

 

 

о최남희 (2005). “산업대해 근로자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,” 한국산업간호협회, 한국산업간호협회지, 12권 3호, 18-24.

 

 

 

о최남희 (2002). “내러티브를 통한 임상간호사의 간호정체성,” 대한간호학회, 간호학회지, 32(4), 470-481.

 

 

 

о최남희 (2001). “간호의 현재와 미래: 전문성을 위한 간호 다시 보기,” 한국의료컨설팅, 의료평론, 139-147.

 

 

 

 

연구논문

저서

о성기환, 소영수, 최남희, 한동우. 『재난관리 자원봉사 임파워먼트』. 대영문화사(2009)

 

о최남희. 『산재근로자 심리상담 모형』. 수문사(2006)

© 2000 by SINAS

bottom of page